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격증/전기기사9

개인적인 정리노트로 본 2022년 3회 전기기사 실기 문제 2022년 3회 전기기사 필기의 경우는 cbt였는데다가 몇 개월이 지났기 때문에 어떤 문제가 나왔었는지 기억에 남아있지가 않다.그래서 2022년 3회 전기기사 실기 문제만 개인적으로 정리해 놓은 노트로 올려보겠다.그냥 참고용이라 생각하면 된다. 3회 실기에 나왔던 문제들 중 몇몇 문제들은 너무 기초적이고 기본적인 개념을 묻는 문제들이었다.그리고 보통 정리노트에서는 그런 지극히 당연한 내용들은 생략하는 것이 일반적이라 할 수 있다.따라서 사진이 10개만 올라온 것은 그런 이유로 보면 된다.그만큼 이번 실기 시험은 쉬었다. 병렬운전시 부하분담비는 이런 식으로  각각의 전류의 크기의 비로 나타내진다.I는 전류, P는 용량,%Z는 퍼센트 임피던스이다.본격적으로 공부하기 전에 이렇게 한번쯤 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2022. 12. 3.
비전공자 전기기사 동차합격 수기(마지막) 기본서 교과 과정은 4번 보는 것을 추천한다.60점에서 70점 사이의 아슬아슬하고 스릴있는 합격에서 비롯되는 짜릿함을 원한다면 2-3번 보는 것을 추천한다.앞에서도 언급했지만 첫번째 볼때는 진도 빼는거 위주로해서 힘빼고 보는 것이 좋다.첨부터 어깨 힘 잔뜩주고 마치 하루 공부하고 말 것처럼 아등바등거리며 시작하면 얼마 못가 현타 오고 번아웃 온다. 두번째 볼때부터는 철저히 이해하면서 봐야 한다.두번째 볼때가 제일 중요하다.이때 자기 자신에 대해 가장 까다롭게 굴어야 하고 공부 자체가 편하면 안된다.마지막에 정리할때나 공부가 편해야 하는 것이고 제일 중요한때 편하게 공부하면 편하게 떨어진다.시시콜콜한 것에 대해서까지 포기하지 않고 최대한 이해를 하고 넘어가려는 자세가 이때 요구된다.한번 노력해도 이해가 안.. 2022. 11. 28.
비전공자 전기기사 동차합격수기(5) 1.전기기기최대한 디테일하고 자세하게 설명해주는 강사를 선택해서 최대한 이해를 하면서 공부하는 것을 추천한다.내용 자체가 상당히 난해하여 이해를 안하고 외우려고 하면 너무 추상적이라 힘이 든다.하지만 전반적인 이해가 형성이 되면 비전공자도 충분히 고득점 할 수 있다.(난 100점 맞음)실기 공부할때 전기기기의 내용이 상당히 많이 등장하니 실기때를 대비해서 한층 꼼꼼하고 빡쌔게 공부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2.전력공학모든 전기기사 필기 과목들의 종합선물세트라고 이해하면 된다.따라서 진도나갈때 연관되는 내용을 계속해서 끄집어내서 상기시켜 주고 비교,대조되는 대상을 거론하여 종합적으로 이해를 돕는 방식으로 강의하는 강사를 선택하면 좋을 것 같다.전력공학 또한 실기에서 그 내용이 상당히 많이 나온다.전기기기.. 2022. 11. 27.
비전공자 전기기사 동차합격 수기(4) 1.전기기사 과목 공부 순서회로이론-전자기학-전기기기-전력공학 순으로 공부하길 추천하다.(설비기준은 암기과목이기 때문에 시험이 가까워진 어느때 따로 15일 정도 투자해서 기본서 과정 2번 진도 나가고 역시 3-4개년치 기출문제 따로 풀고 갔다.워낙 공부범위가 넓기 때문에 공부하려고 하면 한도 끝도 없다.전에는 어땠는지 모르지만 현재는 여기서 고득점을 노리는 것은 비효율적이라고 생각이 든다.여기에다가 너무 많은 시간을 투자하기보다는 그냥 60점만 넘기면 된다는 생각으로 공부하는게 좋지 않을까 한다.)아니면 먼저 회로이론,전자기학 동시에 나가고 나중에 전기기기 전력공학 동시에 나가든지나중으로 갈수록 좀더 복합적이며 다른 기초과목들을 선수학습요건으로 요구하는 경향이 있다. 2. 회로이론은 전기기사 필기 실기 .. 2022. 11. 27.
비전공자 전기기사 동차합격 수기(3) 전의 글에서 교재와 인강을 언급한 이유는 진도를 나아가기 위해서이다.진도를 나가는게 무엇보다 중요한게 뭐냐면 전의 글에서도 언급했지만 전체를 봐야 풀리는 세부적인 문제도 있기 대문이다.숲을 봐야 비로소 보이는 나무도 있다는 말이다. 무언가 결심을 했으면 어떤 상황에서라도 불문곡직하고 일의 진도를 나아가야 한다.좀더 정확히 말하면, 인강과 교재를 보면서 처음 전기기사 공부를 할때는 이런 식으로 촛점을 진도에 맞추는게 좋다.그러니 살짝 힘을 빼서 세부적인 이해나 시시콜콜한 암기는 잠시 미뤄두고 전체적인 흐름에 대한 이해만 하고 진도를 쭈욱 쭈욱 나가는 것을 추천한다.이때는 하루에 강의 5개씩 보겠다 혹은 7개씩 보겠다는 식으로 대략적인 계획을 세우고 그것을 실천하기 위해 스스로를 강제하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2022. 11. 27.
비전공자 전기기사 동차합격 수기(2) 1.나는 대학교 중퇴의 학력이다.서울에 있는 어느 정도 명문대학교이라고 할 수 있는 곳의 물리학과에 입학했기 때문에 평범하게  졸업을 했다면 관련학과 전공자로서 바로 전기기사 시험자격이 주어졌을테지만 어쨌든 나는 학력이 고졸이나 다름없다.즉,한마디로 고졸 비전공자란 말이다.게다가  무엇보다 대학교 입학하고 나서부터 오랜기간동안 아예 공부하고 담을 쌓았다.내 나이가 지금 40대 중반이기 때문에 진짜 진짜 20년 이상을 공부하고 담을 쌓았다.그래서 대학교 중퇴지만 말이다. 20년 이상 공부를 안한 결과는 참담했다.너무 무식해져서 정말 무식하기 짝이 없어서 사회생활 하기도 힘이 들었다. 당연히 사회 밑바닥이라면 밑바닥이라고 할 수 있는 데에서 전전하다가 다시 공부를 처음으로 재개한게 바로 주택관리사보 자격증이.. 2022. 11. 26.
비전공자 전기기사 합격 수기(1) 거두절미하고 내가 제시하는 혹은 추천하는 공부방법은 정공법이다.정공법으로 정면돌파하는 것이야말로 처음에는 시간이 많이 걸리고 힘들더라도 나중에는 오히려 시간이 단축되고 시험볼때 쉽게쉽게 자신있게 풀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계산과정이라든가 원리를 이해해서 최대한 계산 문제 대부분을 맞추려고 노력하면서도  최대한 외울 것은 외우려고 하고  초중반까지는 그 어떤 것이라도 포기하지 않으려는 이 공부자세를 개인적으로 정공법이라고 명명할때,원리에 대한 이해보다는 기출문제를 통해 답을 외우는 위주의 공부방법은 단기간 내의 시험성적에만 초점을 맞추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그런데 기출문제를 풀면서 답을 외우는 위주의 공부자세는 실기공부할때 매우 안좋다.왜냐하면 나중에 자세히 후술하겠지만 필기와 실기는 밀.. 2022. 11. 26.
전기기사 합격 오늘 전기기사 합격을 확인했다.84점 예상했는데 82점 나왔다. 시험문제중 2문제는(정확히 제일 첫번째 문제와 제일 마지막 문제,물론 다 못푼 건 아니고 확실히 그리고 너무나도 잘 알고 있는 소항목 몇개는  잘 풀어서 답을 잘 적었다), 아예 손도 못댄게 나한테는 어디서 듣도 보도 못한 문제였기 때문이다.나한테는 말이다.그런데 다른 사람들은 그 2 문제를 수월하게 푼듯해서 좀 의아하기도 하고 아쉽기도 하다.개인적으로 에듀윌로 공부했는데 강의에서도 교재에서도 접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어쨌든 전반적으로 난이도가 쉬웠고 그리고 결과적으로 합격을 했기 때문에 이 시점에서 크게 중요하지는 않다. 그리고 자잘한 실수 2-3개가 있었던 것 같다.한가지 실수는 리액터 기동법이라 적어야 할 것을 기동보상기법이라고 적은 .. 2022. 11. 25.
전기기사 실기시험을 치르고 한동안 중년의 한량으로서 생활을 해야할 것 같다. 2022년 제 3회 실기시험은 대체적으로 그 난이도가 평이했던 것으로 보인다.전기기사 실기 시험 복원을 한 여러 싸이트가서 여러 차례 확인해본 결과 내 예상점수는 대략 84~5점 정도로 파악이 된다.쉽게쉽게 깔끔하게 풀었던 여러 계산문제들 계산실수로 다 틀렸다고 가정해도 합격커트라인 60점은 넘는 점수대이기 때문에 "감히" 합격을 확신하고 있는중이다.   이렇게 전기기사 취득을 목전에 두게 됨으로써 대표적인 노후자격증이라고 불리는 주택관리사보와 전기기사 자격증을 동시에 지닐 수 있게 되었다.이제 뭐랄까...젊었을때 아무런 목적도 동기부여도 없이 젊음과 세월을 낭비했던 인간 폐급이 그나마 재활용이 가능한 중년으로 거듭나고 있는 것 같은 느낌이다. 헌데 합격.. 2022. 10.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