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전기기사

개인적인 정리노트로 본 2022년 3회 전기기사 실기 문제

by 근거리에서는 비극 2022. 12. 3.
반응형

2022년 3회 전기기사 필기의 경우는 cbt였는데다가 몇 개월이 지났기 때문에 어떤 문제가 나왔었는지 기억에 남아있지가 않다.

그래서 2022년 3회 전기기사 실기 문제만 개인적으로 정리해 놓은 노트로 올려보겠다.

그냥 참고용이라 생각하면 된다.

 

3회 실기에 나왔던 문제들 중 몇몇 문제들은 너무 기초적이고 기본적인 개념을 묻는 문제들이었다.

그리고 보통 정리노트에서는 그런 지극히 당연한 내용들은 생략하는 것이 일반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진이 10개만 올라온 것은 그런 이유로 보면 된다.

그만큼 이번 실기 시험은 쉬었다.

 

병렬운전시 부하분담비는 이런 식으로  각각의 전류의 크기의 비로 나타내진다.

I는 전류, P는 용량,%Z는 퍼센트 임피던스이다.

본격적으로 공부하기 전에 이렇게 한번쯤 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참고로 이건 전기기기 정리노트이다.)

 

오른쪽 페이지 상단 조도 계산식

E(h)는 수평조도,E(v)는 수직조도,E(m)은 법선조도

당연히 수직조도 E(v)=E(m)*sin세타 되겠다.

자세한 설명은 본격적으로 공부할때 보면 된다.

 

 

GPT(접지형계기용변압기)문제다.

이번에 나왔으니 내년 1회때 나올까 싶지만 그래도 인강보면서 진도 나갈때 이 내용이 나오면 눈여겨서 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자세한 설명 생략

(참고로 이건 전력공학 정리노트인데,실기때가서 더 자세히 배울 것이다.)

 

 

그냥 암기(이건 나중에 공부할 것도 없다.이해를 필요로 하지 않는 순수한 암기니까)

 

 

 

1.OCR은 과전류 계전기이다.(Over Current Relay)

2.OVR은 과전압 계전기다.(Over Voltage Relay)

3.UVR은 부족전압 계전기다.(Under Voltage Relay)

4.GR은 지락 계전기이다.(Ground Relay)

 

이게 이번 2022년 3회 실기 문제였다....참 쉽죠,잉?

뒤에 영문표기는 외우고 싶으면 외우고 안외워도 그만이다.

(참고로 이건 전력공학 정리 노트이다.)

 

 

 

위의 전열기 밑의 발전소 혹은 발전기 효율의 원리를 이해해야 한다.

그래야 문제가 변형이 되더라도 응용이 가능하다.

발전소 혹은 발전기 효율 = 860W/BH (노트에선 뒤에 곱하기 100 이 빠졌다 율이니까 뒤에 곱하기 100 이 빠지면 안된다)

W는 전력량(단위 KWh),B는 연료량(단위 Kg혹은 리터),H는 발열량이다.

(이런 전력공학의 내용을 실기에서도 반복해서 배울 것이다.)

 

 

전압강하와(e) 전력손실(P(l)) 문제가 나왔다.

이런게 있구나 하는 정도까지만 보고 나중에 자세히 공부하기를 바란다.

(참고로 이건 전력공학 정리노트이다.)

 

이번에는 수용률이라고 적으면 되는 문제를 냈는데 나중에는 수용률의 정의를 물어볼 수도 있으니 수용률과 더불어 밑의 부하율 부등률의 개념에 대해서 철저하게 이해하고 암기까지 완벽하게 해야 한다.

본격적으로 공부할때 자세히 챙기기를 바란다.

(참고로 이건 전력공학 정리노트이다.)

 

 

P는 단상 전력계의 지시값(즉,유효전력)

Q는 무효전력

P(a)는 피상전력

이번 시험에서는  밑줄친 것만 알면 풀리는 문제가 나왔다.

나머지 무효전력과 피상전력도 알아둬서 나쁠건 없어 보인다.

(참고로 이건 회로이론 정리노트이다.)

 

 

실기공부할때 자세히 공부하기를 바란다.

물론 그냥 외우기에도 어렵지 않게 외워질만한 내용들인 듯 하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