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3로 스위치(1구)설치 방법

by 근거리에서는 비극 2025. 5. 3.
반응형

 

목차

 

 

 

 

 

도입부(경비휴게실의 전등스위치 문제)

 

내가 근무하는 아파트의 경비원들이 사용하는 휴게실에는 크고 작은 문제들이 있다.

그만큼 열악하다는건데 이건 다른 곳에서 근무하는 경비원들도 마찬가지이다.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이지 대부분 열악한 환경에서 생활을 한다.

그러나 지금부터 내가 이야기 하는 것은 그런 다소 무거운 주제들이 아니다.

단지 우리 아파트 경비휴게실이 가지고 있는 문제중  사소한 문제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싶을 뿐이다.

 

그 문제라는 것은 경비원이 안쪽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으면 누가 자꾸 바깥에서 경비휴게실 전등 스위치를 꺼버린다는 것이다.

미화여사님들이 청소하면서 끄는 것일 수도 있고 바로 옆에 도서관이 있어 도서관을 이용하는 입주민이 저녁에는 어두우니까 스위치 막 만지다가 본의 아니게 꺼버리는 것일 수도 있다.

그래서 내가 다른 사람들이 경비휴게실 전등 스위치를 바깥에서 조작하지 말라는 차원에서 스위치 버튼을 빼버렸음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누가 끈다고 한다.-.-

 

눈여겨봐야 할 것은 바깥에서 경비휴게실 전등 스위치를 먼저 켜야만 비로소 경비휴게실 내부의 전등 스위치도 유효하게 작동하는 구조이다.

즉,바깥에서 경비휴게실 전등 스위치를 꺼버리면 휴게실 내부에서 암만 전등 스위치를 똑딱똑딱 눌러도 절대 전등이 안켜진다는 말이다.

이런 구조에 비추어 볼때 아마 경비휴게실이 뒤늦게 지금 자리에 마련되어서 휴게실 내부의 전등 하트선(전원선)을 사진 속의 스위치에서 끌어온 것으로 짐작이 된다.

 

그래서 경비휴게실에 3로 스위치를 달기로 결정했다.

3로 스위치를 달면 휴게실 내부와 외부에서 각각 전등을 켜고 끌 수 있다.

바깥에서 누가 휴게실 전등을 꺼도 곧바로 내부에서 휴게실 전등을 킬 수 있으며 반대로 내부에서 휴게실 전등을 꺼도 바깥에서 곧바로 휴게실 내부의 전등을 켤 수 있다.

그러니 바깥에서 누군가 경비휴게실 전등을 꺼버려도 곧바로 내부에 있는 경비원이 전등을 킬 수 있으니 그 사소한 문제가 해결 되는 셈이다.

또한 휴게실 내부의 스위치는 안쪽 깊은 곳에 있기 때문에 내부와 외부에 각각 3로 스위치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더 편리하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백색선이 메인 하트선이다.점프해서 바로 위의 스위치 또 점프해서 옆에 스위치 또 점프해서 옆의 밑의 스위치까지 하트선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하트선이라는 것은 스위치의 조작과 상관없이 상시 전원이 투입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왼쪽이 하트선 라인 및 하트선 구멍들이라면 오른쪽은 스위치 라인 및 구멍들이다.

이걸 스위치 선이라고 한다.즉 스위치를 조작해야만 비로서 전원이 투입이 됨을 뜻한다.

 

바깥의 스위치선이 경비휴게실 내부의 하트선이 되어서 들어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정확히 말해서 경비휴게실 내부에서 하트선 역할을 해야할 포지션에 꽂혀있는 전선은, 그 출처가 바깥쪽 4구 스위치의 스위치선이기 때문에 하트선 역할을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미화휴게실의 스위치 선도 보이는데,이는 여기서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서 미화휴게실 내부의 조명이 점등됨을 의미한다.

도서관으로 가는 녹색선은 하트선인데,이 녹색선은 도서관 내부에서 위 사진 속의 백색선처럼 메인 하트선 역할을 한다.)

이게 바깥에서 경비휴게실 스위치를 점등시켜야만 비로소 내부 휴게실 스위치가 유효하게 작동했던 이유이다.

 

이와 비교되는 게 도서관으로 들어가는 녹색의 하트선이다.

경비휴게실의 경우 바깥의 스위치선이 내부의 하트선으로 들어가 문제가 되었지만 도서관의 경우는 녹색의 하트선이 도서관으로도 하트선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도서관 내부의 스위치 조작에만 전등이 점소등 되는 지극히 정상적인 구조이다.

보면 알겠지만 경비휴게실 내부 하트선을 공급해 줄 바깥의 4구 스위치에는 여분의 하트선 구멍이 없음을 알 수 있다.그래서 불가피하게  바깥의 스위치선을 휴게실 내부의 하트선으로 끌어다 써서 휴게실 내부의 점소등이 바깥에 있는 스위치 조작에 우선적으로 영향을 받게 된 것이다.

 

 

 

3로 스위치의 기본 원리(전기기사 및 소방설비기사 전기에 시험문제로 출제되곤 하는 내용)

스위치를 조작하는 곳 2곳을 상호 연결하는 연락선 2개가 있어 각각의 위치에서 전등을 점소등할 수 있는 구조임을 확인할 수 있다.

 

 

준비물

 

전동드릴

여분의 목공피스

3로스위치 1구짜리 2개

핸드톱

조그마한 일자드라이버

절연테이프

절연장갑

랜턴

약간의 전선

전선 커넥터

 

 

3로 스위치 1구짜리 2개

​​​​​​​3로 스위치가 따로 있다.엉뚱하게 단로 스위치 구입하고 왜 안되지 하고 고민하지 말 것

쿠팡에서 구입함.아파트 거래처에서 구입한 3로 스위치는 품질이 안좋아서(작업도중 어이없이 부셔짐) 중간에 제품 교체

 

 

 

스위치 뒷면을 보면 하트선 및 스위치선 자리가 따로 있고(오른쪽) 연락선2개의 자리가(왼쪽) 따로 있음을 알 수있다.

왼쪽 오른쪽만 구분하면 되고 위 아래는 구분할 필요 없다.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끔 표시해 놓는등 품질이 좋음을 알 수 있다.

 

 

 

3로 스위치 설치

 

휴게실 바깥에 3로 스위치가 따로 들어갈 자리를 마련하기 위해 3로 스위치의 규격에 맞게끔 대충 자를 이용해서 재단한다.

 

 

 

핸드톱으로 켜면 석고보드재질이라 두부 썰리듯이 잘썰린다.

 

 

 

바깥의 4구 스위치로 들어가는 메인 하트선에서 바깥의 3로 스위치 전원을 따왔다.

즉 4구 스위치 하트선을 분기해서 바깥의 3로 스위치 하트선으로 활용하였다.

 

 

 

노란선은 휴게실 내부의 하트선으로 들어가던 바깥의 스위치선이었던 것인데,새롭게 3로 스위치의 연락선 중 하나로 재활용했다.

연락선 A로 명명하겠다.

커넥터가 벗겨진 백색선은 경비휴게실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새롭게 설치한 연락선B이다.

맨 밑의 커넥터가 씌어진 백색선은 4구 스위치 하트선에 분기된 3구 스위치 하트선이다.

 

 

 

위에선 언급했듯이 연락선 2개는 연락선 자리에 하트선은 하트선 자리에 제자리를 찾아 꽂아주면 된다.

만약 잘못 꽂았다면 조그마한 일자 드라이버로 구멍 옆의 네모난 부분을 누르면서 선을 빼면 된다.

 

 

 

 

경비휴게실 내부에 설치할 3로 스위치도 똑같이 해주면 된다.

다만 적색선은 등공통(중성선)과 함께 전등에 가서 바로 꽂힐 스위치선이다.

바깥의 3로 스위치의 경우 저 자리에 백색의 하트선이 꽂혔다.

 

 

 

 

휴게실 내부에서도 바깥에서도 간편하게 점소등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반응형

댓글